2020년 초복, 중복, 말복, 복날의 유래와 복날에 먹는 음식은?
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식품 및 의약정보

2020년 초복, 중복, 말복, 복날의 유래와 복날에 먹는 음식은?

by 이스트제로 2020. 7.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스트제로입니다.

보통 초복, 중복, 말복 이렇게 복날이 되면 항상 삼계탕 등을 먹으며 몸보신을 하곤 하지요

그래서 오늘은 2020년 삼복의 날짜와, 복날의 유래, 복날에 먹는 음식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해요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

중복은 하지로 부터 네 번째 경일

말목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이에요.

 

2020년 초복은 7월 16일

중복은 7월 26일

말복은 8월 15일 이에요.

 

삼복의 유래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을 말하며 '삼복더위'라고 해요.

복은 원래 중국의 속설로

진'한에서 유래되었어요.

 

조선 후기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사기(史記)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하였다 라고 전해지고 있어요.

 

즉 당시 중국에서는 사람을 괴롭히는 벌레들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행위로

개를 잡았고 삼복 일을 그 날로 정해 액운을 막았다고 해요.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을 담아 삼복이 되면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를 주었어요.

당시에는 빙표를 들고 장빙고를 가면 얼음을 받아갈 수 있었어요.

 

또한 삼복에 비가 내리는 것을 삼복비라고 하는데요.

전남지역에서는 농사비라고 이를 기다렸고

충북 보은 지역에서는 복날에 비가 오면

대추가 흉년이 들어 가게가 어려워진다는 속설이 돌았다고 해요.

 

처음에 삼복에는 팥죽을 먹었다고 해요.

중국에서는 양기가 가득 차 있지만 음기가 일어날 것이라고 해서 복일이라고 불렀고

이때 만귀(귀신)가 움직이는 것으로 인해 사악한 기운을 쫓기 위해

팥죽을 먹었을 것으로 여기지고 있었어요.

 

복날의 대표음식 삼계탕입니다.

삼계탕에는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고

동맥경화 심장병 등 성인병 예방에 좋은 불포화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요.

동의보감에서 닭고기는 따뜻한 성질로 오장을 안정시켜주고

몸의 저항력을 키워준다고 기록되어있어요.

그래서 복날에 많이 찾는 음식이 되었어요.

 

장어에는 불포화지방이 풍부해서 콜레스테롤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어

혈관 질환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줘요.

비타민 A가 풍부해 면역력에도 좋고 눈 건강에도 좋아요.

뿐만 아니라 칼슘 철분 등 미네랄도 많이 들어있어요.

 

추어탕에도 불포화지방이 풍부해요.

단백질과 비타민이 많이 피부 개선 및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줘요.

미꾸라지에는 콘도로이틴이라는 점액물질이 있어서

혈관과 장기를 깨끗하게 해 주고 노화를 방지해줍니다.

 

오리고기도 몸을 회복시켜주는 데 좋고

오리고기의 레시틴 성분이 독소를 제거하는 해독 작용에 좋다고 해요.

 

보양식을 많이 드시고 삼복더위를 이겨내시고

올 한 해 남은 기간 건강하게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다음에도 더 좋은 정보를 가지고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

댓글